로그인
News
Climate & Risk
Company&Action
Governance&Policy
Campaign&Communication
Partnership&Event
구독하기
News
Climate & Risk
Company&Action
Governance&Policy
Campaign&Communication
Partnership&Event
Search 플래닛 리터러시
편집자
248 Posts
Campaign&Communication
2025-09-02
현대차 정몽구 재단, 아시아 기후기술 스타트업 육성 본격화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사장 정무성)이 지난 8월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CMKF-GIH 기후기술 글로벌 파트너십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아시아 기후기술 스타트업 생태계 확장을 위한 국제 협력 모델을 공식 출범했다. 최근 기후 대응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부각되며 산업계 전반에서 탄소 저감 기술에 대한 수요가 국내외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 공급자와 수요자 간의 연결을 촉진할 수 있는 글로벌 협력으로 평가된다.
Campaign&Communication
2025-09-02
Energy
2025-09-01
아시아 각국, 암모니아 혼소 확대...한국은 불확실성 커
한국이 2029년 암모니아 혼소 발전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국제 공급망 협력, 가격 안정 장치 마련, 기술 혁신에 대한 지속적 투자 등이 동시에 뒷받침돼야 한다.
Energy
2025-09-01
Governance&Policy
2025-08-29
재생에너지 전환 가로막는 ‘낡은 제도’…VPP 활성화 급선무
재생에너지 중심의 전력시스템으로의 전환 필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나, 한국 전력시장은 여전히 화석연료 중심의 낡은 구조에 묶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후솔루션은 보고서에서 ▲석탄→LNG 전환 정책 전면 취소 ▲용량요금 및 보조서비스 제도 개선 ▲전기차·DR 자원 통합 허용 ▲양방향 충전기·AMI(지능형 계량기) 인프라 확충 ▲독립적 배전망운영자(DSO) 구축 등을 VPP 활성화 해법으로 제시했다.
Governance&Policy
2025-08-29
News
2025-08-27
한국수력원자력,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건설 참여
한국수력원자력은 차세대 AI 구축에 필요한 기가와트 규모의 고중복 전력 공급을 실현하는 차세대 전력망 개발에 주력하는 페르미 아메리카와 공동으로 세계 최대 규모 첨단 에너지 복합센터 건설에 참여한다. 페르미 아메리카는 올해 들어 현대엔지니어링,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주요 기업과 잇따라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News
2025-08-27
Financials
2025-08-26
보험은 ‘위험관리자’ 넘어 ‘전환 촉진자’
△재난·재해 발생 시 손해 보상 기능 강화 △기업의 저탄소 전환 투자 촉진을 위한 보증성 보험상품 개발 △기후리스크 평가 및 데이터 구축 지원 등이 보험업계의 핵심 과제다. 이를 통해 보험업계가 기후재난 피해를 메워주는 ‘소극적 존재’에서, 저탄소 전환을 유도하는 ‘적극적 인프라’로 진화해야 할 것이다.
Financials
2025-08-26
Governance&Policy
2025-08-25
ESG 공시 2027년 의무화 가시권...국정운영 과제에 명시
이재명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운영의 핵심 과제 중 하나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인프라 고도화를 추진한다. ESG 공시 의무화를 2027년 시행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업계서는 실질적 시행을 주문하면서 EU처럼 과도한 기업 부담 논란을 완화하기 위해, 업종별 특성과 기업 규모에 맞춘 유연한 적용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Governance&Policy
2025-08-25
Industrials
2025-08-2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뚜렷한 재생에너지 카드 안 보인다
현재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계획은 ‘공급 가능한가’라는 물리적 가능성보다 ‘어떻게든 맞추겠다’는 낙관적 전망에 기댄 측면이 큰 상황이다. ‘세계 최대 클러스터’라는 수식어는 자칫 거대한 리스크의 상징으로 남을 수도 있는 셈이다. 정부와 기업은 전력 공급 계획의 정교한 설계와 함께 지역사회 수용성과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재점검해야 한다.
Industrials
2025-08-22
Tech
2025-08-21
빅테크, AI 인프라에 SMR 집중...안전성·경제성 논쟁적
구글은 인공지능(AI) 데이터 관련 에너지 수요 충족과 환경 목표 달성을 위해 첨단 원자력 발전소(SMR, Small Modular Reactor: 소형 모듈 원자로)를 건설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금은 실증과 상업화 과정에서 리스크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냉정하게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한다.
Tech
2025-08-21
Tech
2025-08-20
“AI, 탈탄소 혁신의 촉매제인가…새로운 탄소 위협인가”
AI는 기후위기 대응의 ‘양날의 검’이다. 보고서는 AI가 넷제로 달성에 기여하려면 "▲산업 간 협력과 지식 공유 확대 ▲대기업의 시스템 전환 및 인재 육성 ▲교차 기술 융합을 통한 혁신 ▲윤리와 신뢰에 기반한 책임 있는 AI 설계" 등의 과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Tech
2025-08-20
Company&Action
2025-08-19
세계 주요 기업 88%, 지속가능성을 가치 창출 기회로 본다
세계 주요 기업 10곳 중 약 9곳이 지속가능성을 가치 창출 기회로 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익성 증가, 매출 성장, 자본 비용 개선 등을 기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기업 경영자들은 ESG 경영 추진의 가장 큰 난관을 비용으로 보고 있는 것(25%)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변동성 또는 불확실성은 17%였다.기후 관련 위협에 회복탄력성 강화에 착수한 기업들은 주로 인프라 업그레이드, 공급망 다변화, 재무 시나리오 분석, 지역사회 대비 훈련 등 4개 영역에 초점을 두고 복원력 확보를 추진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Company&Action
2025-08-19
Governance&Policy
2025-08-18
"기후위기적응특별법 제정 필요하다"
정부의 기후정책과 관련 ▲사후 대응 중심의 투자 구조 개선 ▲중장기 정책목표와 합리적 성과지표 마련 ▲기후위기 주류화 및 법적 기반 강화 ▲취약계층 보호제도 보완 ▲농수산·물관리·산림 부문 대응력 제고 등을 개선과제로 제시했다. 아울러 국회에서 발의된 '기후위기적응특별법'이 적응대책의 위상과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국회·정부·이해관계자 간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Governance&Policy
2025-08-18
Governance&Policy
2025-08-14
국정 로드맵서 사라진 ‘기후에너지부’…기후 리더십 실종인가, 매머드 부처 등장인가
입법조사처는 현재 환경부 중심 체계로는 대응이 어려운 만큼 기후 부문과 밀접하게 연계된 산업·무역·통상 부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제조업 중심의 한국의 실정에 맞게 부처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후에너지부가 사라진 정부 로드맵의 충격파는 매머드 부처인 기후에너지산업통상부 등장으로 귀결될지 주목된다.
Governance&Policy
2025-08-14
더 보기